고려 서희 소손녕 거란 담판 역사 결론
서희와 소손녕의 거란 담판
역사적 배경
고려는 태조 왕건 때부터 고구려를 계승한 나라임을 내세우며 북진 정책을 추진했습니다. 그래서 옛 고구려의 수도였던 서경(지금의 평양)을 중요하게 여기며 대동강 북쪽으로 영토를 넓히려고 했지요. 이즈음 거란은 발해를 멸망시키고, 한반도 북쪽 지역과 중국으로 영토를 넓히고 있었습니다.
993년, 거란은 고려에 침입해 왔습니다. 거란은 고려가 거란을 멀리하고 바다 건너 송을 섬긴다는 이유로 침입을 명분으로 내세웠습니다.
담판의 과정
거란의 침입으로 고려는 큰 위기에 처했습니다. 고려 조정은 거란과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에 대해 회의를 거듭했습니다. 일부 신하들은 거란에 땅을 떼어주고 화해하자는 의견을 내세웠지만, 서희만은 이를 반대했습니다.
서희는 거란과 담판을 통해 승리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거란이 고려를 쉽게 무찌를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 거란의 야심을 이용하여 고려의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서희의 주장을 받아들인 고려는 그를 담판 사신으로 임명했습니다. 서희는 거란에 들어가 소손녕을 만나 담판을 벌였습니다.
담판의 결과
서희는 담판에서 다음과 같은 주장을 펼쳤습니다.
- 고려는 거란의 영토가 아니다.
- 고려는 송과 교류를 하는 것이 당연하다.
- 고려는 여진을 몰아내고 압록강 유역에 성을 쌓아 거란과 교류할 수 있는 길을 만들겠다.
소손녕은 서희의 주장에 처음에는 화를 내며 거절했습니다. 하지만 서희는 침착하게 소손녕의 질문에 대답하며 설득을 이어갔습니다.
결국, 소손녕은 서희의 주장을 받아들여 다음과 같은 조건을 내걸었습니다.
- 고려는 거란에 조공을 바치고, 거란의 연호를 사용한다.
- 고려는 송과의 교류를 중단한다.
서희는 소손녕의 조건을 받아들여 담판을 마무리했습니다.
결론
서희와 소손녕의 거란 담판은 고려 역사상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입니다. 이 담판으로 고려는 거란의 침략을 막고, 영토를 지켜낼 수 있었습니다. 또한, 거란과의 외교 관계를 유지하여 고려의 안정적인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서희는 이 담판에서 뛰어난 외교적 능력과 지혜를 발휘하여 고려를 구한 영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