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일본 메이지 유신 원인과 개혁 과정 결과

by 아어흥 2023. 12. 19.

 

일본 메이지 유신 원인과 개혁 과정 결과

 

일본 메이지 유신

  • 원인
    • 서구 열강의 침략
    • 쇄국정책의 한계
    • 개혁파의 등장
  • 개혁 과정
    • 1854년: 미일 화친조약 체결
    • 1868년: 대정봉환
    • 1871년: 폐번치현
    • 1872년: 신분제도 폐지
    • 1873년: 헌병제 실시
    • 1875년: 민선지주제 실시
    • 1881년: 내각책임제 실시
    • 1889년: 메이지 헌법 공포
  • 결과
    • 근대적 국가로의 전환
    • 일본의 부국강병
    • 아시아의 패권 국가로의 부상

원인

메이지 유신의 가장 큰 원인은 서구 열강의 침략입니다. 1853년 미국의 매슈 페리 제독이 일본을 개항하라는 요구를 하자, 일본은 1854년 3월 미일 화친조약을 체결하고 개항을 하게 됩니다. 이후 영국, 프랑스, 러시아, 네덜란드 등 다른 열강들도 일본을 개항시키고, 이로 인해 일본은 서구 열강의 침략에 노출되게 됩니다.

쇄국정책의 한계도 메이지 유신의 원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에도 막부는 쇄국정책을 통해 서구 열강의 침략을 막으려 했지만, 서구 열강의 힘은 막부의 힘을 압도했습니다. 결국 막부는 쇄국정책의 한계를 인정하고 개항을 하게 됩니다.

개혁파의 등장도 메이지 유신의 원인으로 꼽힙니다. 막부의 쇄국정책에 반대하는 개혁파는 서구의 문물을 받아들여 일본을 근대화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들은 막부의 개항 조약 체결에 반대하며 메이지 유신의 주역이 됩니다.

개혁 과정

메이지 유신은 1854년 미일 화친조약 체결 이후 1889년 메이지 헌법 공포에 이르기까지 약 30여 년에 걸쳐 진행되었습니다. 개혁 과정은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 1854년~1868년: 개혁의 준비기
    • 1854년: 미일 화친조약 체결
    • 1860년: 로시야와의 통상조약 체결
    • 1862년: 조슈 번의 쇄국파 숙청
    • 1867년: 에도 막부의 대정봉환
  • 1868년~1871년: 개혁의 전기
    • 1868년: 왕정복고
    • 1869년: 메이지 천황의 도쿄 입성
    • 1871년: 폐번치현
  • 1871년~1881년: 개혁의 중기
    • 1872년: 신분제도 폐지
    • 1873년: 헌병제 실시
    • 1875년: 민선지주제 실시
    • 1878년: 메이지 헌법 공포
  • 1881년~1889년: 개혁의 후기
    • 1881년: 내각책임제 실시
    • 1889년: 메이지 헌법 공포

결과

메이지 유신은 일본을 근대적 국가로 전환시켰습니다. 개혁을 통해 일본은 쇄국정책을 폐지하고, 신분제도를 폐지했으며, 헌법을 제정하고, 근대적인 정치, 경제, 사회 제도를 도입했습니다. 또한, 일본은 메이지 유신을 통해 서구 열강에 맞서 부국강병을 이루고, 아시아의 패권 국가로 부상하게 됩니다.

메이지 유신은 일본 역사상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로 평가됩니다. 메이지 유신을 통해 일본은 근대 국가로의 발전을 도모합니다

 

 

['일본', '메이지', '유신', '원인과', '개혁', '과정',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