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제주 탐라국 역사와 제주고씨

by 아어흥 2023. 9. 24.

 

제주 탐라국 역사와 제주고씨

 

제주 탐라국 역사 자료

탐라국은 기원전 2337년 고을나왕이 세운 것으로 전해지는 제주도의 옛 국가입니다. 삼국시대부터 고려 및 조선 초기까지 오랫동안 존재했으며, 1404년 조선에 완전히 병합되었습니다.

탐라국의 역사 자료는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 문헌 자료: 『삼국사기』, 『고려사』, 『세종실록지리지』 등
  • 고고학 자료: 제주도 곳곳에 분포하는 유적과 유물

문헌 자료는 탐라국의 건국 신화, 정치 체제, 문화, 사회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고고학 자료는 탐라국의 정치, 경제, 문화, 종교 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입니다.

탐라국의 복속 생활상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 정치: 탐라국은 고려에 성주를 파견하여 조공을 바쳤습니다. 고려는 탐라에 성주를 파견하여 통치하였으나, 탐라국의 자치권은 어느 정도 유지되었습니다.
  • 경제: 탐라국은 고려의 조공 요구에 따라 해산물, 농산물, 특산물을 바쳤습니다. 고려는 탐라에 관청을 설치하여 경제 활동을 관리하였습니다.
  • 문화: 탐라국은 고려의 문화를 받아들였으나, 독자적인 문화도 유지하였습니다.

탐라국의 복속은 탐라국과 고려의 관계에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탐라국은 고려의 영향력 아래에 들어가게 되었지만, 자치권을 어느 정도 유지하면서 독자적인 발전을 이어갔습니다.

고을나왕

고을나왕은 기원전 2337년 탐라국을 건국한 시조입니다. 《고려사》 지리지 탐라현조에 인용된 《고기(古記)》에 따르면, 태초에 제주도에는 사람이 없었는데, 어느 날 한라산 북쪽 기슭 모흥혈(毛興穴)에서 3인의 신인이 솟아올라왔다고 합니다. 첫째가 양을나(良乙那), 둘째가 고을나(高乙那), 셋째가 부을나(夫乙那)였습니다.

고을나왕은 세 형제 중 둘째로, 제주도의 첫 번째 왕이 되었습니다. 그는 한라산을 신성시하고, 제주도민을 하나로 통합하는 데 힘썼다고 합니다. 고을나왕의 치세는 약 100년으로 추정됩니다.

고을나왕은 제주 고씨의 시조이기도 합니다. 제주 고씨는 현재 제주도에 가장 많은 인구를 차지하는 성씨입니다.

고을나왕의 업적

  • 제주도의 첫 번째 왕이 됨
  • 한라산을 신성시함
  • 제주도민을 하나로 통합함
  • 제주 고씨의 시조

고을나왕에 대한 평가

고을나왕은 제주도의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인물입니다. 그는 제주도를 하나의 국가로 통합하고, 제주 고씨라는 큰 성씨를 형성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제주고씨

제주고씨는 탐라국의 시조인 고을나왕을 시조로 하는 성씨입니다. 제주도를 본관으로 하며, 약 47만여 명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시조

제주고씨의 시조는 기원전 2337년 탐라국을 건국한 고을나왕입니다. 고을나왕은 한라산 북쪽 기슭 모흥혈에서 솟아올라온 삼신인의 둘째로, 탁라국의 첫 번째 왕이 되었습니다.

분파

제주고씨는 크게 9계파로 분파되어 있습니다.

  • 성주공파(星主公派)
  • 전서공파(典書公派)
  • 영곡공파(靈谷公派)
  • 덕곡공파(德谷公派)
  • 중동공파(中東公派)
  • 옥구공파(沃溝公派)
  • 고봉례공파(高鳳禮公派)
  • 고경명공파(高慶命公派)
  • 고경신공파(高慶信公派)

역사

제주고씨는 탐라국이 건국된 기원전 2337년부터 시작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탐라국이 고려에 병합된 후에도 제주고씨는 고려의 성주로 임명되어 제주도를 다스렸습니다. 조선 시대에는 제주목사로 임명되어 제주도를 통치하였습니다.

인물

제주고씨에는 많은 역사적 인물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다음과 같은 사람들이 있습니다.

  • 고경명(高慶命):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으로 활약한 인물
  • 고경신(高慶信): 조선 중기의 문신
  • 고건(高建): 제15대 대한민국 국무총리
  • 고경실(高敬實): 제18대 국회의원
  • 고경화(高敬和): 제20대 국회의원

문화

제주고씨는 제주도와 깊은 연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제주도의 독특한 문화와 전통을 형성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제주고씨의 대표적인 문화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제주 고씨 종문의 제향
  • 제주 고씨의 문중 행사
  • 제주 고씨의 가옥
  • 제주 고씨의 전통 음식

현대

제주고씨는 현대에도 제주도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보유하고 있는 성씨입니다. 제주도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전역에 걸쳐 많은 제주고씨들이 살고 있습니다.

 

 

['제주', '탐라국', '역사', '제주고씨', '고대국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