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중원 탑평리 7층석탑 개요 역사

by 아어흥 2023. 11. 4.

 

중원 탑평리 7층석탑 개요 역사 

 

중원 탑평리 7층석탑

개요

  • 중원 탑평리 7층석탑은 충청북도 중원군 탑평리에 있는 7층석탑이다.
  • 백제의 대표적인 석탑 중 하나로, 1962년 12월 20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40호로 지정되었다.
  • 높이는 16.7m로, 2층 기단 위에 7층의 탑신과 1층의 옥개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역사

  • 탑의 조성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6세기 후반에서 7세기 초반으로 추정된다.
  • 탑의 조성은 백제의 중흥을 이끈 무왕(재위 600-641)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 탑은 1915년과 1959년에 보수공사를 거쳤다.

주변

  • 탑평리에는 탑평리 7층석탑 외에도 탑평리 3층석탑, 탑평리 삼층석탑, 탑평리 석조여래좌상 등이 있다.
  • 탑평리 7층석탑은 이웃한 탑평리 3층석탑과 함께 백제의 석탑 양식을 대표하는 유적이다.

결론

  • 중원 탑평리 7층석탑은 백제의 대표적인 석탑으로, 백제의 석탑 양식을 잘 보여주는 유적이다.
  • 탑은 뛰어난 조각과 균형 잡힌 비례로 인해 백제 석탑의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탑평리 7층석탑의 특징

  • 탑의 기단은 2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층에는 안상(眼象)이 새겨져 있다.
  • 탑신은 7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층의 몸돌에는 부처의 사리를 모신 감실(龕室)이 있다.
  • 탑의 옥개석은 8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낙수면(落水面)에 2단의 층급을 두었다.
  • 탑의 상륜부는 노반(露盤), 복발(覆鉢), 보륜(寶輪), 앙화(仰花), 화염보주(火焰寶珠)로 이루어져 있다.

탑평리 7층석탑의 의미

  • 중원 탑평리 7층석탑은 백제의 대표적인 석탑으로, 백제의 석탑 양식을 잘 보여주는 유적이다.
  • 탑은 뛰어난 조각과 균형 잡힌 비례로 인해 백제 석탑의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 탑은 백제의 불교 문화를 상징하는 유적으로,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매우 크다.

 

 

['중원', '탑평리', '7층석탑', '개요',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