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서울 당산역 유래와 역사
아어흥
2023. 12. 28. 06:01
서울 당산역 유래와 역사
서울 당산역 역사와 유래
- 당산역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동 2가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2호선, 5호선의 환승역이다.
- 1984년 7월 20일에 지하철 2호선 당산역으로 처음 개통되었으며, 1996년 12월 30일에 지하철 5호선 당산역이 개통되면서 환승역이 되었다.
- 역명은 당산동의 지명에서 유래되었다. 당산동은 조선시대에 당산서원과 당산사가 있던 곳으로, 당산서원은 조선 중기 문신인 이항복을 모신 서원이며, 당산사는 조선 후기 문신인 김상헌을 모신 사당이다.
서울 당산역 교통
- 당산역은 지하철 2호선과 5호선을 이용할 수 있는 환승역이다.
- 2호선 당산역은 여의도역, 영등포역, 구로역, 신도림역으로 이어진다.
- 5호선 당산역은 여의도역, 노량진역, 상도역, 고속터미널역으로 이어진다.
- 또한, 당산역은 버스 노선이 많이 경유하는 교통의 요충지이다.
2호선 당산역
- 여의도역 (2호선, 5호선) : 2분
- 영등포역 (1호선, 2호선, 7호선) : 6분
- 구로역 (1호선, 2호선, 7호선) : 15분
- 신도림역 (1호선, 2호선, 7호선, 9호선) : 25분
5호선 당산역
- 여의도역 (2호선, 5호선) : 2분
- 노량진역 (5호선, 9호선) : 10분
- 상도역 (5호선, 7호선) : 15분
- 고속터미널역 (3호선, 5호선, 7호선, 9호선) : 30분
서울 당산역
- 역사
- 1984년 5월 28일 2호선 개통과 함께 개업
- 1996년 3월 26일 5호선 개통
- 2015년 3월 28일 9호선 개통
- 유래
- 당산동의 지명에서 유래
- 당산동은 과거에 당산이 있었던 곳
- 당산은 마을의 수호신으로 모시던 당우를 가리킴
- 교통
- 2호선, 5호선, 9호선의 환승역
- 서울의 주요 도심과 외곽 지역을 연결
- 당산역 버스 환승센터
- 2호선: 방화역, 신도림역, 잠실역
- 5호선: 방화역, 여의도역, 강동역
- 9호선: 개화역, 신논현역, 종로3가역
당산서원
당산서원은 조선 중기의 문신 이항복을 추모하기 위해 세워진 서원입니다. 당산역 인근의 당산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1675년(숙종 21)에 창건되었습니다.
당산서원은 이항복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으며, 조선 후기 서원 중에서도 규모가 큰 서원 중 하나입니다. 서원 내에는 이항복의 위패를 모신 사당과 강당, 그리고 각종 부속 건물이 있습니다.
당산사
당산사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동에 위치한 사찰입니다. 당산역 인근에 위치하고 있으며, 약 5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당산사는 원래 당산이 있었던 곳으로, 당산은 마을의 수호신으로 모시던 당우를 가리킵니다. 당산사가 세워지면서 당산의 신도들이 이곳으로 모여들면서 사찰이 되었다고 합니다.
당산사에는 관음보살을 주신으로 모시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재를 소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산동의 마을 축제인 당산제가 이곳에서 열립니다.
이항복
이항복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덕연, 호는 옥봉입니다. 영의정을 지냈으며, 학문과 문장으로 이름을 떨쳤습니다.
이항복은 당산동 출신으로, 당산서원과 당산사에 모셔져 있습니다. 또한, 당산동에는 이항복의 생가터와 묘소가 있습니다.
서울 당산역은 당산서원, 당산사, 이항복 등과 관련된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쉬는 곳입니다.
['서울', '당산역', '당산서원', '당산사', '이항복', '역사', '유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