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서울 외곽 성문 명칭 유래 위치

아어흥 2023. 11. 23. 09:00

서울 외곽 성문 명칭 유래 위치

 

서울 외곽 성문 명칭 유래 위치

서울은 조선시대부터 한양으로 불리며 수도로 자리매김한 도시입니다. 한양은 도성 내에 4대문과 4소문을 두고, 도성 밖으로는 4대문과 18소문을 두어 외곽을 방어했습니다.

서울 외곽 성문의 명칭은 크게 다음과 같은 유래를 가지고 있습니다.

  • 지형적 특징: 장안문은 한양의 중심인 종로를 가로지르는 장안길을 따라 있어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숭례문은 한양의 남쪽에 위치하여 남쪽을 향하고 있어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돈의문은 한양의 동쪽에 위치하여 동쪽을 향하고 있어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서소문은 한양의 서쪽에 위치하여 서쪽을 향하고 있어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Image of 서울 돈의문]
  • 역사적 사건: 숙정문은 임진왜란 당시에 왜군이 한양을 침략하는 것을 막기 위해 세워졌습니다. 창의문은 조선시대에 임금이 사냥을 나갈 때 사용하던 문입니다. 자하문은 조선시대에 한양의 북쪽에 위치한 자하동으로 통하는 문입니다.
  • 자연환경: 혜화문은 한양의 북서쪽에 위치한 혜화동으로 통하는 문입니다. 무학문은 한양의 북쪽에 위치한 무학산으로 통하는 문입니다. 교남문은 한양의 남서쪽에 위치한 교남동으로 통하는 문입니다. 남대문은 한양의 남쪽에 위치한 남산으로 통하는 문입니다.

서울 외곽 성문의 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 북쪽: 혜화문, 무학문
  • 서쪽: 돈의문, 서소문
  • 남쪽: 남대문, 창의문, 숭례문
  • 동쪽: 숙정문, 자하문, 교남문

서울 외곽 성문은 조선시대 한양의 도성과 외곽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현재는 대부분의 성문이 훼손되거나 사라졌지만, 남아있는 성문은 서울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서울', '외곽', '성문', '명칭', '유래', '위치', '사대문']